메뉴 건너뛰기

김옥순 시인 홈페이지

좋은 글

조회 수 2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루터기 , 이만섭,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 신작 5편 중 한 편

 

나무는 죽어서 풍장을 치른다 밑동이 잘린 채 뺏속 깊이 생의 이름을 쓴다

살아서나 죽어서나 나무라는 말로서 그 이름을 대신한다면

굳이 죽었다고 말하는 것이 온당할까, 생을 움켜쥐고

수원지를 찾아 해매던뿌리는 지금쯤 어떻게 되었을까,

땅속 깊이 박힌 채 몸의 중심부에서 여전히 무슨 소식이 오길 시다리는 것은 아닐까

배인 밑동은 깊은 고뇌에 들었다

살아 잎을 틔워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건만

수액을 나르던 등걸은 잘려나가고 화살의 과녁처럼 나이테만 동그마이 남았다 

 그 표적에 앉아 월의 출구 쪽으로귀를 연다 똑, 똑, 석회암 동굴에서

종유석을 키우는 물방울 소리, 오랜 세월 풍찬 노숙으로 키운 얼마나 애써온 생인가,

생명을 지키던 가쁜 숨소리가 전류를 머금은 코일처럼 찌릿찌릿 감겨온다

생을 그리 내주고도 표정은 이처럼 담담할까,

누구나 삶의 단층을 들려다보면 그곳에 생이 지니고 온 지도가 혈류처럼 간직되어 있다

더 굵게 더 광활하게 그러니까 생은 둥글기 위해 살았던 것이다

나무 한 그루 자라서 베어질 때까지 평생토록 하늘을 향해 생명의 문장을 써온 것이 그 이유라면

이제 몸의 가장 낮은 자리에 중심을 내려 저렇게 나이테만 남기고 피안에 들었다

나무가 생의 이력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1. 갈대의 울음 / 이만섭 시, 죽도 김형석이 씀

  2. No Image 31Aug
    by 들국화
    2018/08/31 by 들국화
    Views 187 

    저녁의 계보 / 김병호

  3. 민들레 역 / 최종천

  4. No Image 15Jun
    by 들국화
    2018/06/15 by 들국화
    Views 158 

    시비詩碑 앞에서 / 윤강로

  5. 201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 당선작 "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 이원하

  6. 못 위의 잠 / 나희덕

  7. No Image 04Mar
    by 들국화
    2018/03/04 by 들국화
    Views 321 

    봄밤/ 권혁웅

  8. 꽃 / 김춘수

  9. 한계령을 위한 연가 / 문정희

  10. 서각으로 쓴 / 김옥순의 시 단풍잎

  11. 약해지지 마 / 시바타 도요 1집 ~2집

  12. 상사화 / 김옥순

  13. 12월 / 황지우

  14. No Image 29Oct
    by 들국화
    2017/10/29 by 들국화
    Views 901 

    그늘에 묻다 / 길상호 시

  15. 가을 시 한 편

  16. 나의 시 단풍잎을 캘리그래피로 죽도 김형식 선생님이 쓰다

  17. No Image 10Sep
    by 들국화
    2017/09/10 by 들국화
    Views 231 

    두 번째 여행 (입관) / 김강호

  18. 노을 만 평 / 신용목 시

  19. 이빨론 / 류근

  20. No Image 01Jun
    by 들국화
    2017/06/01 by 들국화
    Views 78 

    먼 곳 / 문태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