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옥순 시인 홈페이지

좋은 글

조회 수 2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루터기 , 이만섭,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 신작 5편 중 한 편

 

나무는 죽어서 풍장을 치른다 밑동이 잘린 채 뺏속 깊이 생의 이름을 쓴다

살아서나 죽어서나 나무라는 말로서 그 이름을 대신한다면

굳이 죽었다고 말하는 것이 온당할까, 생을 움켜쥐고

수원지를 찾아 해매던뿌리는 지금쯤 어떻게 되었을까,

땅속 깊이 박힌 채 몸의 중심부에서 여전히 무슨 소식이 오길 시다리는 것은 아닐까

배인 밑동은 깊은 고뇌에 들었다

살아 잎을 틔워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건만

수액을 나르던 등걸은 잘려나가고 화살의 과녁처럼 나이테만 동그마이 남았다 

 그 표적에 앉아 월의 출구 쪽으로귀를 연다 똑, 똑, 석회암 동굴에서

종유석을 키우는 물방울 소리, 오랜 세월 풍찬 노숙으로 키운 얼마나 애써온 생인가,

생명을 지키던 가쁜 숨소리가 전류를 머금은 코일처럼 찌릿찌릿 감겨온다

생을 그리 내주고도 표정은 이처럼 담담할까,

누구나 삶의 단층을 들려다보면 그곳에 생이 지니고 온 지도가 혈류처럼 간직되어 있다

더 굵게 더 광활하게 그러니까 생은 둥글기 위해 살았던 것이다

나무 한 그루 자라서 베어질 때까지 평생토록 하늘을 향해 생명의 문장을 써온 것이 그 이유라면

이제 몸의 가장 낮은 자리에 중심을 내려 저렇게 나이테만 남기고 피안에 들었다

나무가 생의 이력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갈대의 울음 / 이만섭 시, 죽도 김형석이 씀 그루터기 , 이만섭,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 신작 5편 중 한 편 나무는 죽어서 풍장을 치른다 밑동이 잘린 채 뺏속 깊이 생의 이름을 쓴다 살아서나 죽어서나 ... 들국화 2018.11.05 224
111 저녁의 계보 / 김병호 들국화 2018.08.31 187
110 민들레 역 / 최종천 민들레 역 /최종천 난 놀고 있는 꼬마들을 보면 차를 멈추는 버릇이 있지만 차에서 내리지는 않는다. 민들레가 딱 한 송이 피는 곳에선 민들레를 보기 위해 차에... 1 들국화 2018.08.03 272
109 시비詩碑 앞에서 / 윤강로 들국화 2018.06.15 158
108 201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 당선작 "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 이원하 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 / 이원하 유월의 제주 종달리에 핀 수국이 살이 찌면 그리고 밤이 오면 수국 한 알을 따서 차즙기에 넣고 즙을 짜서 마실 거예요... 들국화 2018.06.15 954
107 못 위의 잠 / 나희덕 못 위의 잠 나희덕 저 지붕 아래 제비집 너무도 작아 갓 태어난 새끼들만으로 가득 차고 어미는 둥지를 날개로 덮은 채 간신히 잠들었습니다 바로 그 옆에 누가 ... 들국화 2018.05.19 908
106 봄밤/ 권혁웅 들국화 2018.03.04 321
105 꽃 / 김춘수 꽃 /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 들국화 2018.02.01 241
104 한계령을 위한 연가 / 문정희 한계령을 위한 연가 문정희 한겨울 못잊을 사람하고 한계령쯤을 넘다가 뜻밖의 폭설을 만나고 싶다 뉴스는 다투어 수십년 만의 폭설을 알리고 자동차들은 뒤뚱거... 들국화 2018.01.20 385
103 서각으로 쓴 / 김옥순의 시 단풍잎 들국화 2018.01.03 284
102 약해지지 마 / 시바타 도요 1집 ~2집 약해지지 마 / 시바타 도요 1집 있잖아, 불행하다고 한숨짓지 마 햇살과 산들 바람은 한쪽 편만 들지 않아 꿈은 평등하게 꿀 수 있는 거야 나도 괴로운 일 많았지... 들국화 2017.12.28 543
101 상사화 / 김옥순 상사화 그리움이 보이는 것이었다면 홀로 피지는 않았을 것을 그리움을 잡을 수만 있었다면 맨몸으로 피우지는 않았을 것을 한 뿌리에 잎 따로 꽃 따로 잎 난데 ... 들국화 2017.12.25 137
100 12월 / 황지우 12월 / 시 황지우 12월의 저녁 거리는 돌아가는 사람들을 더 빨리 집으로 돌아가게 하고 무릇 가계부는 家産 탕진이다 아내여, 12월이 오면 삶은 지하도에 엎드리... 들국화 2017.12.20 232
99 그늘에 묻다 / 길상호 시 들국화 2017.10.29 901
98 가을 시 한 편 가을 시 한 편 들국화 2017.10.25 620
97 나의 시 단풍잎을 캘리그래피로 죽도 김형식 선생님이 쓰다 단풍잎 죽도 김형식님은 서각 예술인으로서 내 시 "단풍잎"을 찍었다 그리고 이런 모습으로 거듭났다. ^^ 들국화 2017.10.20 327
96 두 번째 여행 (입관) / 김강호 들국화 2017.09.10 231
95 노을 만 평 / 신용목 시 노을 만평 / 신용목 누가 잡아만 준다면 내 숨통째 담보 잡혀 노을 만 평쯤 사두고 싶다 다른 데는 말고 꼭 저기 페염전 옆구리에 걸치는 노을 만 평 갖고 싶다 ... 들국화 2017.07.20 366
94 이빨론 / 류근 이빨론 / 류근 놈들이 도열해 있을 땐 도무지 존재감이란 게 없는 것이다 먹잇감 때로 모여 작살내고 한 욕조의 거품으로 목욕하고 처음부터 한 놈 한 놈은 뵈지... 들국화 2017.07.11 177
93 먼 곳 / 문태준 들국화 2017.06.01 7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