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옥순 시인 홈페이지

좋은 글

조회 수 3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가 읽은 (978)





감자의 이력

 

강동수

 

생전에 어머니가 가꾸었던 앞밭에서

감자를 캔다

어머니의 손끝에서 싹을 틔우던 어린것들

주인을 잃고 시들어진 줄기를 걷어낸다

호미가 지나갈 때 주렁주렁 매달려 나오는

어머니의 세월

감자도 이력이 있어 모양을 갖추었다

작은 근심 큰 근심이 같이 매달려 나온다

가끔 검게 타들어간 어머니의 가슴이 세상을 향해

얼굴을 내민다

암덩이가 몸 속에서 자라듯이

해를 보기 전 알 수 없는 감자의 이력

 

어둠을 안고 땅거미가 몰려올 때까지

눈물같은 세월을 캔다.

 

 

자주 꽃 핀 건 / 자주 감자이고 하얀 꽃 핀 건 / 하얀 감자라고, 이는 파보나마나알 수 있다고 권태응 시인이 동시로 밝혀놓았지만 사실 감자의 색깔만 알 수 있을 뿐, 감자꽃이나 잎만 보고 감자알이 얼마나 굵은지는 농부도 알 수 없다. 땅 속에서 뿌리로 자라는 감자는 파 보기 전에는 얼마나 잘 영글었는지, 큰지 작은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흔히 감자잎이 무성하면 알이 잘다고는 하는데 반드시 그런 것만도 아니다.

강동수의 시 <감자의 이력>에는 감자를 캐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런데 그 감자를 심은 사람은 어머니이지만 감자를 캘 무렵에는 어머니가 안계신다. 시 속 내용으로 보아 감자를 심고 싹이 올라오고 한창 자랄 무렵 어머니는 암으로 돌아가신 모양이다. 그러니 생전에 어머니가 가꾸었던 앞밭에서 / 감자를 캔다고 한다. ‘어머니의 손끝에서 싹을 틔우던 어린것들은 화자의 눈에 주인을 잃고 시들어진처럼 보인다. 하긴 식물이라고 감정이 없겠는가. 늘 보살펴주던 주인이 안보이니 시들만도 할 것이다. 화자는 그런 줄기를 걷어내고 감자를 캔다.

호미가 지나갈 때 주렁주렁 매달려 나오는감자들 - 화자는 그 감자들을 어머니의 세월이라고 한다. 즉 화자는 호미질에 땅 속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감자들은 바로 어머니의 세월을 담고 있다고 인식한다. 그런데 감자도 이력이 있어 모양을 갖추었다고 한다. 그 크기가 제 각각이리라. 그러니 작은 근심 큰 근심이 같이 매달려 나온다지 않는가. 여기서 화자는 가끔 검게 타들어간 어머니의 가슴이 세상을 향해 / 얼굴을 내민다고 한다. ‘검게 타들어간감자알 - 바로 땅 속에서 병충해로 혹은 다른 이유로 검게 썩어 버린, 먹지 못할 감자알이다. 화자는 이를 어머니의 가슴이 검게 타들어간 모습으로 인식한다. 호미로 땅을 훑기 전에는 몰랐던 일이다. 그러니 돌아가신 어머니처럼 암덩이가 몸 속에서 자라듯이 / 해를 보기 전 알 수 없는 감자의 이력이라지 않는가.

​그렇게 화자는 어둠을 안고 땅거미가 몰려올 때까지 / 눈물같은 세월을 캔단다. ‘눈물같은 세월’ - 바로 어머니의 세월이지 않겠는가. 어머니가 심은 감자, 싹이 나고 잎이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 직접 돌보셨던 감자밭이다. 그러나 어머니는 감자가 얼마나 영글었는지는 알지 못한 채 암으로 돌아가셨다. 주인이 가고 없는 감자밭에서 감자를 캐는 화자. 호미질에 올라오는 감자알들은 크거나 작거나 모두 어머니의 세월이다. 개중에는 썩은 것도 올라온다. 바로 검게 타들어간 어머니의 가슴이리라. 감자알이 굵건 잘건 아니 썩은 것이라도 모두가 어머니의 세월이 담긴 것들이요, 어머니의 큰 근심 작은 근심 그리고 때로는 검게 타들어간어머니의 눈물같은 세월이 그대로 배어 있다. 화자는 지금 감자를 캐며 캐낸 감자알에서 그 알에 담겨 있는 어머니의 세월을 읽고 있다.

시 ​제목이 감자의 이력이다. 이력 - 바로 어머니의 큰 근심 작은 근심 그리고 검게 타들어간 가슴, 바로 어머니의 세월이다. 시 속에 미사여구를 쓴 것도 아니요 특별히 남다른 상징과 비유도 없다. 그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평범한 비유에 진솔한 묘사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시를 읽고 나면 오히려 그런 진술들에서 어느 비유나 상징보다 더 큰 울림을 느낄 수 있다. , 어머니……!





  1. No Image

    발을 씻으며/황규관

    Date2022.01.17 By들국화 Views89
    Read More
  2. No Image

    당신의 빈자리 / 홍영수 시인 (2021 제7회 매일 시니어문학상' 당선작)

    Date2021.07.10 By들국화 Views181
    Read More
  3. 죽도 김형식 선생의 작품

    Date2021.06.24 By들국화 Views250
    Read More
  4. No Image

    흰둥이 생각/손택수

    Date2021.05.07 By들국화 Views1496
    Read More
  5. No Image

    계속 웃어라 / 임승유 (퍼온 글)

    Date2021.03.16 By들국화 Views612
    Read More
  6. 그 사람 / 권명옥 시

    Date2021.02.18 By들국화 Views65
    Read More
  7. No Image

    2020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당선 시, [남쪽의 집 수리] 최선 시

    Date2020.10.10 By들국화 Views154
    Read More
  8. No Image

    소주병 / 공광규 시

    Date2020.06.04 By들국화 Views179
    Read More
  9. No Image

    개같은 가을이/최승자(박수호 시 창작 카페에서) 2, 누구를 통해 말하는가 ─화자와 퍼소나

    Date2019.11.29 By들국화 Views592
    Read More
  10. No Image

    기록사진 위로 떨어지는 것 /육호수 시

    Date2019.03.22 By들국화 Views303
    Read More
  11. No Image

    위안부 할머니를 위한 헌시 / 하린 시

    Date2019.03.22 By들국화 Views301
    Read More
  12. 김옥순 시인의 한 영 번역시 세 편, 대장동의 저물녘, 11월의 정류장, 늙은 풍차

    Date2019.02.11 By들국화 Views392
    Read More
  13. 감자의 이력 / 강동수 시 이병렬 교수가 읽음

    Date2019.02.11 By들국화 Views302
    Read More
  14. 디카시 - 시와 사진의 어울림― 김옥순 시집 <11월의 정류장> 이병렬 교수가 읽고 박수호 시인이 해설하다

    Date2019.01.05 By들국화 Views529
    Read More
  15. No Image

    불륜을 꿈꾸다 / 김순영 시를 이병렬 교수가 읽음

    Date2019.01.05 By들국화 Views168
    Read More
  16. No Image

    소를 웃긴 꽃

    Date2018.11.12 By들국화 Views179
    Read More
  17. 갈대의 울음 / 이만섭 시, 죽도 김형석이 씀

    Date2018.11.05 By들국화 Views210
    Read More
  18. No Image

    저녁의 계보 / 김병호

    Date2018.08.31 By들국화 Views177
    Read More
  19. 민들레 역 / 최종천

    Date2018.08.03 By들국화 Views265
    Read More
  20. No Image

    시비詩碑 앞에서 / 윤강로

    Date2018.06.15 By들국화 Views15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