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옥순 시인 홈페이지

자유게시판

조회 수 1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산문山門에 기대어/송수권

 

 

 

누이야

가을산 그리메에 빠진 눈썹 두어 낱을

지금도 살아서 보는가

정정淨淨한 눈물 돌로 눌러 죽이고

그 눈물 끝을 따라가면

즈믄 밤의 강이 일어서던 것을

그 강물의 깊이깊이 가라앉은 고뇌의 말씀들

돌로 살아서 반짝여 오던 것을

더러는 물 속에서 튀는 물고기같이

살아오던 것을

그리고 산다화 한 가지 꺾어 스스럼 없이

건네이던 것을

 

누이야 지금도 살아서 보는가

가을산 그리메에 빠져 떠돌던, 그 눈썹 두어 낱을 기러기가

강물에 부리고 가는 것을

내 한 잔은 마시고 한 잔은 비워 두고

더러는 잎새에 살아서 튀는 물방울같이

그렇게 만나는 것을

 

누이야 아는가

가을산 그리메에 빠져 떠돌던

눈썹 두어 낱이

지금 이 못물 속에 비쳐 옴을




 

<문태준 시 읽기 62> 산문 山門에 기대어/송수권

 

 

  하마터면 이 시는 세상에서 빛을 보지 못하고 유성처럼 사라질 뻔했다. 송수권 시인이 서대문 화성여관 숙소에서 이 작품을 백지에 써서 응모를 했는데 잡지사 기자가 원고지를 쓸 줄도 모르는 사람의 원고라며 휴지통에 버렸다. 당시편집 주간이었던 이어령 씨가 휴지통에 있던 것을 발견해 1975문학사상지면에 시인의 데뷔작으로 발표했다. 이 일화로 휴지통에서 나온 작품이라는 입소문을 타 문단에서 화제가 되었고, 발표 이후에는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누이를 애타게 호명하고 있지만, 이 시는 남동생의 죽음에 바치는 비가悲歌였다. “ 내 한 잔은 마시고 한 잔은 비워 두고비어 있는 맞은편을 망연히 바라보았을 그 시방十方의 비통함을 짐작되고도 남는다. 시인은 무엇보다 죽은 동생의 환생에 대한 강한 희원을 드러낸다. “더러는 물 속에서 튀는 물고기같이”, “더러는 잎새에 살아서 튀는 물방울같이등의 역동적인 문장은 적극적인 환생을 바라는 시인의 마음을 엿보게 한다. 산문山門은 속계俗界와 승계僧界의 경계이고, 이승과 명부冥府가 갈라지는 경계인바, 산문에 기대어 생사의 유전流轉을 목도하는 것은 큰 고통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생사의 감옥에 갇혀 살아도 죽은 사람은 산 사람의 마음속에서 영생을 살아 이처럼 마음을 절절하게 울리는 노래를 낳았다.

 

  송수권 시인은 전통 서정시의 맥을 이어오면서 황토와 대와 뻘의 정신에 천착해 왔다. 그는 곡즉전曲卽全, 구부러짐으로써 온전할 수 있다을 으뜸으로 받든다. “곡선 속에 슬픔이 있고, 추억이 있고, 들숨이 있지요. 시간이 있고, 희망이 있고, 공간이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한다. 그의 시는 고갈 쓴 여승이 서서 염불 외는 것같아서 사람의 마음을 애지고 막막하게 하지만 남도 특유의 가락과 토속어의 사용으로 슬픔과 한을 훌쩍 넘어서는 진경을 보여준다.

 

   문태준 역음, 애송시 100, 민음사, 2008.


***박수호 시 창작카페에서 펌***

 
                
 
첨부 이미지  
    
  



  1. 유사성과 차이성을 동시에 유추하기(은유)/엄경희, (박수호 시창작에서)

    Date2020.04.25 By들국화 Views276
    Read More
  2. 서경적 구조와 시점 / 박수호 시창작에서

    Date2020.04.02 By들국화 Views1232
    Read More
  3. 조동범의( 묘사) 박수호 시창작에서

    Date2020.03.24 By들국화 Views531
    Read More
  4. 어떤 금일봉

    Date2020.03.01 By들국화 Views175
    Read More
  5.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Date2020.02.27 By들국화 Views223
    Read More
  6. 영화 기생충을 관람하고

    Date2020.02.16 By들국화 Views173
    Read More
  7. 대상을 어떻게 보여주는가 ─묘사와 이미지 / 박수호 시창작에서

    Date2020.02.02 By들국화 Views323
    Read More
  8. 설 쇠고

    Date2020.02.01 By들국화 Views135
    Read More
  9. 장수동 은행나무

    Date2019.12.31 By들국화 Views113
    Read More
  10. 오래전에 쓴 시 두 편 / 벽랑 김옥순

    Date2019.12.31 By들국화 Views130
    Read More
  11. 시는 어떻게 오는가 / 박수호 시 창작에서

    Date2019.12.29 By들국화 Views205
    Read More
  12. 2019년 메리 크리스마스

    Date2019.12.15 By들국화 Views70
    Read More
  13. 산문山門에 기대어/송수권

    Date2019.12.10 By들국화 Views113
    Read More
  14. 장애인 뉴스 내년 예산혜택 (연금)

    Date2019.12.08 By들국화 Views573
    Read More
  15. 카톡~

    Date2019.11.30 By들국화 Views109
    Read More
  16. 엄마가 범인

    Date2019.09.06 By들국화 Views117
    Read More
  17. 어떤 가출, 소설을 끝내고

    Date2019.08.16 By들국화 Views116
    Read More
  18. ‘책나래 서비스’ 모든 장애인으로 확대

    Date2019.03.30 By들국화 Views463
    Read More
  19. 창작준비금 지원사업 2019년 2월

    Date2019.02.12 By들국화 Views153
    Read More
  20. 새벽 세 시

    Date2019.01.22 By들국화 Views1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