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옥순 시인 홈페이지

좋은 글

조회 수 1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삶도사람도 동사다
삶도사람도 동사다 


에서 견성見性이라는 말을 본성을 본다는 뜻 대신, ‘보는 것이 본성이다라는 뜻으로 새겨요시 또한 주어와 술어주체와 대상의 자리바꿈에서 태어나는 것이 아닐까요… 시는 자기 삶을 살아내고자기 죽음을 죽으려는 의지예요달리 말해 살다’, ‘죽다라는 자동사를 타동사로 바꾸려는 의지예요.
이성복무한화서

는 어떻게 쓰이는가산문과 비교해보면 특성을 살필 수 있다산문은 쓰는 사람의 말하고자 하는 바가 쓰여 있는 것이다우리 삶의 많은 부분은 를 주장하고 내세우고 호소하는 것으로 채워져 있다. ‘를 말하기 위해서 부지런히 말하고 쓰고 많은 산문들이 쏟아져 나온다이런 산문에서 주어는 당연히 그런 내가 때로는 너이기도 하고 그/그녀이기도 하지만 인칭만 바뀌었을 뿐 실재 내용은 모두 를 주어로 하는 것이다주체로서의 가 늘어놓는 소리다.
그런데 시는 다르다말하기보다는 듣는 데서 시가 나온다말하는 소리라기보다는 듣는 소리다이와 관련하여 살펴봐야 할 것이 소리로 창법을 연마하는 사람들이 강조하는 득음 得音이다득음은 소리를 얻는다는 뜻이다이것이 무슨 말인가 무수히 갈고 닦음으로써 소리의 경지에 이른다는 뜻이다. ‘소리는 원래부터 내 것이 아니라 얻는 것이라는 뜻이다그렇게 얻게 된 소리로 애절하고 비통한 원망의 소리도 내고 환희의 지경을 노래하기도 한다일상적 어조로는 도저히 담아낼 수 없는 노래가 득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완성된다.

이 소리를 얻어서 하는 것이라면 시는 소리를 들어서 하는 것이다산문이 내가 내는 소리라면 그러니 들을 수 있어야 시를 쓸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아닐까이를 산문과 비교하니 주체와 대상이 서로 뒤바뀐다산문에서는 내가 주체이지만 시에서 는 소리가 전해진 대상이다. ‘가 주체가 아니라 대상이다. ‘를 대상으로 삼는 것은 분법을 파괴하는 일이다그런데 문법을 파괴함으로써 삶에 더 가까이 다가간다삶에서는 가 주체가 아니기 때문이다산문의 문법이 앎의 논리라면시의 어법은 삶의 생리다그러기에 삶이 우리에게 속삭이기도 하고 내지르기도 하는 소리를 들어야 한다들어야 시가 나온다.

나아가 시에서는 주어와 술어도 자리바꿈한다이건 주체와 대상이 바뀌는 것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는 것이다명사들 사이의 자리바꿈이 아니다명사와 동사가 서로 자리를 바꾼다명사가 앞서 나오고 동사가 붙어 뜻을 이루는 것이 아니다그런 경우 주도권은 명사에 있게 되고 우리는 모든 것을 명사화해서 보게 된다정형화하고 고정적으로 새겨낸다는 말이다이런 문법은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정을 보장해줄 것 같고 또한 편리하기까지 하다그러나 정형화로 인해 삶의 역동성이 손상된다변화가능성을 집어버리고 결국 잃어버린다삶의 현실에서 동떨어진 언어가 되어버린다.

따라서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동사가 주도권을 지니는 것이 중요하다삶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이기 때문이다사람도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사람이나 삶이나 모두 살다라는 동사에서 나온 파생적 명사다문법적으로 기능하려다 보니 명사가 된 것일 뿐 본래의 뜻은 에누리 없는 동사다이를 회복하라는 삶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니 시가 나온다그러니 살고 죽는 것이 자동사가 아니라 타동사다어찌 시만 그러할까삶이 이미 그러하다. ‘산다는 것이 타동사다자동사라는 착각에서 벗어나는 것이 그래서 중요하다.
정재현인생의 마지막 질문무엇이 먼저인가청림출판사, 2020.

*박수호 시 창작에서 퍼옴,*


  1. No Image 29May
    by 들국화
    2023/05/29 by 들국화
    Views 37 

    부엌-상자들/이경림

  2. No Image 21Feb
    by 들국화
    2023/02/21 by 들국화
    Views 104 

    삶도, 사람도 동사다 / 이성복 (무한화서)

  3. 프로출근러 / 이재훈 시

  4. 식탁의 농담 / 박상조

  5. 긍정적인 밥/함민복

  6. 길갓집 / 김옥순

  7. No Image 11Jan
    by 들국화
    2023/01/11 by 들국화
    Views 59 

    자연의 벌레가 더 신성하다

  8. 날씨 흐려도 꽃은 웃는다 / 김옥순 1집

  9. 묵화 / 김옥순 디카시

  10. 똥꽃 / 이진수

  11. No Image 15Nov
    by 들국화
    2022/11/15 by 들국화
    Views 119 

    쉬 / 문인수

  12. No Image 01Oct
    by 들국화
    2022/10/01 by 들국화
    Views 43 

    침묵의 소리’에 귀 기울이기 /이성복

  13. 스프링 / 손택수

  14. 나는 종종 낮을 잊어버린다

  15. No Image 28Jun
    by 들국화
    2022/06/28 by 들국화
    Views 188 

    좋은 시란? / 정민 (한양대 국문과 교수)

  16. 소들어오던 날 / 박상조

  17. No Image 11Apr
    by 들국화
    2022/04/11 by 들국화
    Views 93 

    나에게 묻는다 / 이산아

  18. 현충일 오후 / 김옥순 시

  19. 짬 / 박상조 詩

  20. 별 헤는 밤 / 윤동주 詩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