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상자들/이경림 그때 그녀는 거기 머무르는 허공들처럼 아주 조용한 환자였다. 매일 반복되는 한 가지 일만 빼고는 일은 대개 새벽녘에 터졌다 내가 잠든 틈을 타 그녀는 조용히 공격해 왔다 그녀는 소리없이 산소 호스를 뽑고 침대를 내려가 발꿈치를 들고 살금살금 문쪽으로 갔다. 인기척에 놀란 내가 억지로 그녀를 데려와 다시 침대에 뉘며 물었다. ─엄마 어디 가시는 거예요? ─어딜 가긴, 부엌에 가지, 빨리 밥을 지어야지 ─아이구 엄마두 여긴 병원이에요 부엌은 없어요! ─무슨 소리냐 부엌이 없다니 그럼 넌 뭘로 도시락을 싸가고 너희 아버진 어떻게 아침을 드시니? ─엄만 지금 아파요 이젠 밥 따윈 안 해도 된다구요! ─큰일날 소리! 아버지 깨시기 전에 서둘러야지 ─엄마! 여긴 병원이라구요 부엌은 없어요! ─얘야 세상에! 부엌이 없는 곳이 어디 있니? 어디나 부엌은 있지 저기 보렴 부엌으로 나가는 문이 비스듬히 열렸잖니! ─저긴 부엌이 아니에요 복도예요 ─그래? 언제 부엌이 복도가 되었단 말이냐? 밥하던 여자들은 다 어딜 가구? ─밖으로 나갔어요. 엄마, 밥 따윈 이제 아무도 안 해요 보세요. 저기 줄줄이 걸어나가는 여자들을요 ─깔깔깔(그녀는 정말 참을 수 없다는 듯이 배를 움켜 쥐고 웃었다) 얘야. 정말 어리석구나 저 복도를 지나 저 회색 문을 열고 나가면 더 큰 부엌이 있단다 저기 봐라 엄청나게 큰 밥솥을 걸고 여자들이 밥하는 것이 보이잖니? 된장 끓이는 냄새가 천지에 가득하구나 ─엄마 제발 정신 차리세요 여긴 병원이란 말예요 ─계집애가 그렇게 큰 소리로 떠드는 게 아니란다. 아버지 화나시겠다 어여 밥하러 가자 아이구 얘야. 숨이 이렇게 차서 어떻게 밥을 하니?(모기만한 소리로) 누가 부엌으로 가는 길에 저렇게 긴 복도를 만들었을까? 세상에! 별일도 다 있지 무슨 여자들이 저렇게 오래 걸어 부엌으로 갈까? 엄마는 입술이 점점 파래지더니 까무러쳐서 오래 깨어나지 못했다 그때 나는 그녀가 기어이 그 긴 복도를 걸어 나가 엄청나게 큰 부엌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 엄마의 청국장 냄새가 중환자실에 가득했다. <시 읽기1> 부엌-상자들/이경림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에는 엄마라는 이름을 헤아릴 나이가 된 딸이 엄마에게 부엌이 좋으냐고 묻는 장면이 나온다. 엄마는 이 물음을 알아듣지 못한다. 엄마가 식구에게 밥해 먹이는 일이 좋아서 하거나 싫으면 안 해도 되는 선택이 될 수 있을까? 엄마는 그런 물음을 한 번도 생각해본 일이 없기 때문이다. 내키면 밥을 하고 싫으면 밥을 안 해도 되는 선택을 상상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좋고 싫고를 생각하기 전에 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좋으면 태어나고 싫으면 안 태어날 수 없듯이, 좋으면 숨 쉬고 싫으면 숨을 안쉴 수 없듯이, 좋으면 죽고 싫으면 안 죽을 수 없듯이, 먹는 일도 좋고 나쁨의 선택을 떠나 있다. 인간에게 입이 있고 위장이 있는 한, 어머니에게 식구가 있고 자식이 있는 한, 그것은 결코 하고 싶으면 하고 하기 싫으면 하지 않는 선택이 될 수 없다. 그 밥의 준엄한 지상명령을 수행하는 곳이 부엌이요. 그 일을 수행하는 사람이 어머니라는 이 땅의 오랜 관습도 그런 선택을 떠나 있다. “오후 여섯 시, 마요네즈 군대가 쳐들어 온다/토마토 군대가 쳐들어온다/그 끔찍한 남편과 아이들이 쳐들어온다”(「접시라는 이름의 여자」)고 송찬호 시인도 밥 차리는 전쟁을 익살스럽게 표현했다. 일생 동안 밥을 해대도 그치지 않고 쳐들어오는 밥때. 그 적과 싸워 어떻게 이기겠는가. 어떻게 밥과 싸워서 밥을 안 해도 되고 밥을 안 먹어도 되는 세상을 이루겠는가. 밥을 안 먹어도 되는 입을 어떻게 만들겠는가. 먹어도 먹어도 결코 채워지는 법이 없는 위장을 어떻게 당해낼 수 있겠는가. 그 싸움은 백전백패다. 애초에 성립될 수 없는 싸움이다. 밥하기는 끝나지 않는 책임과 의무요. 어머니는 그 일에서 결코 퇴직할 수 없는 직업이다. 위 시에서도 병원에 입원하여 밥할 일이 없어졌는데도 새벽에 몰래 부엌을 찾는 어머니는 부엌도 없는데 어딜 가느냐는 딸의 물음을 이해하지 못한다. 부엌이 없는 세상이라니! 식구들에게 밥을 해 먹이지 않는 어머니라니! 어머니에게는 병원이든 거리든 도시 한복판이든 다 부엌이 된다. 부엌이 되어야만 한다. 세상은 “엄청나게 큰 부엌”일 뿐이다. 인간이 밥을 먹고 살아가는 한 “밥이 법이기 때문이다. 밥은 국법이다”(이성복, 「밥에 대하여」) “저 복도를 지나 저 회색 문을 열고 나가면 더 큰 부엌이! 정말 큰 부엌이 있단다 저기 봐라 엄청나게 큰 밥솥을 걸고 여자들이 밥하는 것이 보이잖니?” 밥 고행, 부엌 고행, 어머니 고행을 얼마나 해야 이런 말이 나올 수 있을까? 눈앞에 닥친 죽음보다도 딸의 도시락과 아버지의 밥상이 더 걱정되는 경지, 밥걱정의 힘이 병실이며 복도며 문밖의 모든 세상을 다 부엌으로 바꾸어버리는 경지. 세상 한 복판에 걸린 큰 밥솥을 위해 아버지와 아들은, 아침마다 전철과 버스와 도로는 출근 전쟁이다. 세상은 큰 밥그릇 싸움터다. 그러니 어서 부엌으로 가 밥을 해야지 병원에 누워있거나 죽을 틈이 어디 있겠는가. 온 세상이 엄청나게 큰 부엌으로 변형되도록 한평생 밥을 해대더니, 드디어 어머니에게 밥은 종교가 되고 신이 된 것이다. 부엌은 신전이 되고 밥하기는 예배가 된 것이다. 밥에 갇힌 어머니, 부엌에 갇힌 어머니, 어머니에 갇힌 어머니. 어떻게 어머니를 이 감옥에서 구해낼 것인가, 평생 어머니를 가두고 부려 먹고 억누르던 밥이 이제는 어머니의 유일한 삶의 이유가 되었다. 밥하는 일을 중단하는 순간 어머니는 갑자기 늙고 병들고 죽고 말 것이다. 이제 밥 고행은 감옥이 아니라 구원이 된 것일까. 딸이라고 해서 죽을병이라고 해서 어떻게 그 거룩한 고행의 즐거움을 어머니에게서 빼앗을 수 있겠는가. 어머니이기도 한 이경림 시인은 마지막까지 밥을 하려다 순교한 어머니 앞에서 망연자실한다. 밥의 역설 어머니의 역설 앞에서 말을 잃는다. ―김기택, 『다시, 시로 숨 쉬고 싶은 그대에게』, 다산북스, 2016. |
2023.05.29 02:18
부엌-상자들/이경림
조회 수 37 추천 수 0 댓글 0
TAG •
Who's 들국화
관리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