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옥순 시인 홈페이지

좋은 글

2025.02.26 00:20

빈집 / 문태준

조회 수 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빈집/문태준

지붕 위로 기어오르는 넝쿨을 심고 녹이 슨 호미는 닦아서 걸어두
겠습니다육십촉 알전구일랑 바꾸어 끼우고 부질없을망정 불을
기다리렵니다흙손으로 무너진 곳 때워보겠습니다고리 빠진 문도
고쳐보겠습니다.

옹이 같은 사랑은 날 좋은 대패로 밀고 문지방에 백반을 놓아 뱀 넘나
들지 않게 깨끗한 달력 그 방 가득 걸어도 좋겠습니다.


<시 읽기빈집/문태준


다섯 개 문장과 두 연으로 짜인 짧은 시제목은 빈집이지만 이 시는 독자가 마음속에 품고 사는고향 사람들의 목소리가 또렷하게 들리는 집을 떠올리게 한다화자가 빈집에 들어서서 들려주는 목소리는 소박하고 차분하다 정다운 친구에게 은근히 속내를 보여 주듯 옹이 같은 사랑은 날 좋은 대패로 밀고” 문지방에 백반을 놓는 화자의 행위는 실향민이 다 되어 가는 현대인의 마음을 흔든다.

지붕넝쿨식물녹슨 호미알전구흙손고리 빠진 문이 환기하는 것은 과거의 풍경이 아니다과거로 돌아가자는 것도 아니다이 단어들은 자본과 문명에서 못 벗어나는 우리에게 문명사회가 놓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짚어보도록 새 길을 터줌과 같다걸어두겠고때워 보겠다는 등의 동사動詞는 농사일에 밀착된 정서적 풍요로움까지 선물한다.

개발 또는 문명화라는 말에 휘말려 산천이 함부로 파헤쳐지는 오늘을 누구든 보고 산다옛모습을 고이 간직한 곳이 거의 없을 정도다사정이 이런 데도 화자는 인적이 끊긴 집에 정을 붙이려고 한다어린 시절부터 익혔을 노동의 토막에 기대듯 “육십 촉 알전구일랑 바꾸어 끼우고 부질없을망정 불을 기다리겠다는 화자의 다짐이 쓰라리게 정답다.

그가 기다리는 것은 전깃불만이 아니다논밭 옆이나 산과 사이로 기어기어간 옛길이며 가난했어도 서로를 존중할 줄 알았던 순정을빈집에 돌아올 사람처럼 기다릴 수도 있겠다시의 미래와 사람 살이의 미래가 결코 멀리 있지 않음을 그는 알고 있는 것이다.
―이병초, 『우연히 마주친 한 편의 시』, 형설출판사, 20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 꽃신 한 켤레 / 김옥순 디카시 SIMA 시마 문학매거진 2024년 봄, 18호 꽃신 한 켤레 당선 디카시 디카시 면 전면 후면 들국화 2024.03.31 38
9 글은 곧 그 사람이다 글은 곧 그 사람이다 이글은 페이스북에서 찍어왔다 글을 쓰는 나에게 명심해야 할 지켜야 할 교훈적 글이 많은데 늙은 시인이 외우는 데는 한계가 있어 찍어왔다... 들국화 2024.06.05 30
8 아버지의 편지/윤승천 1 들국화 2024.06.20 43
7 얼룩 박수호 감상 후기 쓰레기에 불가한 광고지를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데 얼룩이란 단어에 잡혀 허리를 굽혔단다 &quot;한 시대를 건너는 동안 내 안에 묻어 있는 얼룩들을 생각... 들국화 2024.07.19 32
6 빨래를 널며(에세이문학 2010년 여름호 신인상) / 왕린 빨래를 널며(에세이문학 2010년 여름호 신인상) / 왕린 이 작품은 페이스북, 친구 페이지에서 찍어왔다 얼마 안 된 시절의 정서가 고스란히 담아져 마음 편해지는... 들국화 2024.07.26 18
5 따로 또 같이 / 정재현 들국화 2024.11.16 2
4 괜찮아/ 한강 들국화 2024.11.29 2
3 시에 기대다 들국화 2024.12.04 8
2 신이 우리에게 주신 선물 두 가지는 신이 우리에게 주신 선물 두 가지는 눈물과 웃음이라고 합니다 눈물에는 치유의 힘이 있고 웃음에는 건강이 담겨 있습니다 기쁠 때 몸 안팎으로 드러나는 가장 큰... 들국화 2025.01.13 3
» 빈집 / 문태준 들국화 2025.02.26 3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Next
/ 9
위로